다음의 diagram

diagram_representing_single_ordering

이 $b\leq a$를 뜻하는 것이라 하자. 예를 들어, 다음의 diagram

diagram_representing_two_orderings

은 $b\leq a$이고 $c\leq a$이지만, $b$와 $c$ 사이에는 별 관계가 없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diagram을 Hasse diagram이라 부른다.

극대원소와 극소원소

정의 1 Ordered set $A$의 원소 $a$가 $A$의 minimal element극소원소 (resp. maximal element극대원소)라는 것은 모든 $x\in A$에 대하여 $a\leq x$ (resp. $a\geq x$)이면 $x=a$가 성립하는 것이다.

Minimal element가 유일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diagram_representing_two_orderings

에서, $b$와 $c$는 모두 집합 $\{a,b,c\}$의 minimal element이다. 수학자들은 보통 이런 성질을 가지는 원소가 유일하기를 바라므로, 이 상황은 그렇게 달가운 상황이 아니다.

최대원소와 최소원소

정의 2 Ordered set $A$의 원소 $a$가 $A$의 least element최소원소 (resp. greatest element최대원소)라는 것은 모든 $x\in A$에 대해서 $a\leq x$ (resp. $x\leq a$)인 것이다.

앞선 예시에서, $b$와 $c$는 least element가 될 수 없다. $b\leq c$와 $c\leq b$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의에 의해 least element는 유일하다. 더욱이 다음이 성립한다.

명제 3 만일 $A$가 least element $a$를 갖는다면, $a$는 $A$의 유일한 minimal element이다.

증명

$A$의 임의의 원소 $x$에 대하여 $a\leq x$가 성립한다. 따라서 만일 $x\leq a$가 성립하는 $x\in A$가 존재한다면, $\leq$의 antisymmetry로부터 $x=a$여야 한다. 이로부터 $a$가 $A$의 minimal element가 된다는 것을 안다.

만일 $a’$가 $A$의 다른 minimal element이고, $a’\neq a$라면 정의 1의 대우명제로부터 $a’\not\leq a$여야 하는데, 이는 $a$가 least element라는 사실에 모순이므로 $a’=a$여야 한다.

때때로 ordered set의 모든 원소보다 큰 새로운 원소, 혹은 모든 원소보다 작은 새로운 원소를 생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상의 원소는 $\pm\infty$으로 쓰는 것이 보편적이다.

명제 4 $A$가 ordered set이고 $A’=A\sqcup\{+\infty\}$이라 하자. 그럼 $A$에서 정의된 order relation을 확장하며, $a$를 greatest element로 갖는 $A’$의 order relation이 존재한다.

증명

기존의 order relation에 $\bigcup_{x\in A}\left\{(x, +\infty)\right\}$의 원소들을 추가해주면 된다.

상한과 하한

정의 5 Preordered set $A$와 그 부분집합 $X$가 주어졌다 하자. $a\in A$가 모든 $x\in X$에 대해 $a\leq x$ (resp. $a\geq x$)를 만족한다면, 이를 $A$에서의 $X$의 lower bound하계 (resp. upper bound상계)라 부른다.

Lower bound (resp. upper bound)를 갖는 집합을 bounded below아래로 유계 (resp. bounded above위로 유계)라 하고, bounded below이면서 bounded above인 집합을 간단히 bounded유계라 한다.

다음의 ordered set $A=\{a,b,c,d,e\}$를 생각하자.

upper_and_lower_bounds

그럼 $a$는 집합 $X=\left\{c,d,e\right\}$의 upper bound지만 $b$는 그렇지 않다. 집합 $X’=\left\{d,e\right\}$를 생각한다면, $a$와 $b$ 모두가 이 집합의 upper bound이다. 위의 예시로부터 집합 $X$의 lower bound가 $X$에 포함될 필요는 없지만, 만일 이것이 성립한다면 그 원소는 $X$의 least element가 된다.

정의 6 $A$가 ordered set이고 $X\subseteq A$이라 하자. $A$의 어떤 원소 $a$가 $X$의 greatest lower bound최대하계 (혹은 infimum하한)라는 것은 이 원소가 $X$의 lower bound 중 greatest element라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least upper bound최소상계 (혹은 supremum상한)도 정의한다.

$X\subseteq A$의 supremum이 존재한다면, 이를 $\sup_AX$로 쓰고, infimum은 $\inf_AX$로 쓴다. 정의에 의하여, $X\subseteq A$가 greatest element $a$를 갖는다면 $a=\sup_AX$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명제 7 $A$가 ordered set이고 $X\subset A$가 supremum과 infimum을 모두 갖는다 하자.

  1. 만일 $X\neq\emptyset$일 경우 $\inf_A X\leq\sup_A X$이다.
  2. 만일 $X=\emptyset$이라면, $\sup_AX$와 $\inf_AX$는 각각 $A$의 least, greatest element가 된다.
증명
  1. 만일 $X\neq\emptyset$라면 적어도 하나의 원소가 존재한다. 이를 $a$라 하자. 그럼 정의에 의해 $\inf X\leq a$이고 $a\leq\sup X$이며 transitivity에 의해 $\inf_AX \leq\sup_AX$이다.
  2. 만일 $X=\emptyset$라면, $A$의 임의의 원소 $a$는 모든 $x\in X$에 대하여 $a\leq x$ 그리고 $x\leq a$를 만족한다. 따라서 $A$의 임의의 원소는 $X$의 lower bound이자 upper bound가 되며, $\sup_AX$와 $\inf_AX$는 $A$의 least, greatest element가 된다.

상한, 하한과 집합간의 연산

이제 지금까지 살펴본 집합의 연산과 상한, 하한의 관계를 살펴본다.

명제 8 Ordered set $A$의 두 부분집합 $X,X’$에 대하여, $\sup_AX,\sup_AX’$가 각각 정의되고 $X’\subseteq X$라면 $\sup X’\leq\sup X$이다.

증명

$x\in X’$를 임의로 택하자. $X’\subseteq X$이므로, $x\in X$이다. 한편 임의의 $x\in X$에 대하여 $x\leq \sup X$가 성립하고 따라서 $\sup X$는 $X’$의 upper bound이다. 이제 정의에 의해 $\sup X’\leq \sup X$이다.

명제 9 Ordered set $A$에 대해, 모든 $i\in I$에 대해 $x_i\leq y_i$를 만족하는 family $(x_i)_{i\in I}$, $(y_i)_{i\in I}$를 생각하자. 이들이 모두 $A$에서 supremum을 갖는다면, $\sup_{i\in I} x_i\leq \sup_{i\in I} y_i$이다.

증명

임의의 $i\in I$에 대하여, $x_i\leq y_i$이고 $y_i\leq \sup y_i$이므로 모든 $i$에 대해 $x_i\leq \sup y_i$이고 따라서 $\sup x_i$의 minimality에 의해 $\sup x_i\leq\sup y_i$이다.

명제 10 Ordered set $A$와 index set $I$, 그리고 $I$의 covering $(J_k)_{i\in I}$에 대하여, $(x_i)_{i\in J_k}$가 $A$에서 supremum을 갖는다 하자. 그럼 $\sup_{i\in I} x_i$가 존재하는 것은 $\sup_{k\in K}(\sup_{j\in J_k}x_j)$가 존재하는 것과 동치이며 두 값은 같다.

증명

$b_k=\sup_{i\in J_k} x_i$라 적자. 우선 $(x_i)_{i\in I}$가 supremum을 갖는다고 하고, 이를 $a$라 하자. 그럼 $a\leq b_k$가 모든 $k$에 대해 성립한다. 또, 만약 $c\geq b_k$가 모든 $k$에 대해 성립한다면, 임의의 $x_i$에 대해서 $i\in J_{k’}$인 $k’$는 $b_{k’}\geq x_i$를 만족하고, 따라서 어떠한 $i$에 대해서도 $c\geq x_i$이다. 이제 $a$의 최소성에 의해 $c\geq a$이어야 하고, 따라서 $a$가 supremum이며 $\sup_{i\in I}x_i=\sup_{k\in K}(\sup_{i\in J_k} x_j)$이다.

반대로 $(b_k)_{k\in K}$가 supremum $a’$를 갖는다 해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증명을 완료할 수 있다.

명제 11 Ordered set $(A_i)_{i\in I}$들의 곱 $A=\prod A_i$와 그 부분집합 $X$에 대해 $X_i=\pr_i X$라 하자. 그럼 $\sup_AX$가 존재하는 것과 각각의 $\sup_{A_i}X_i$가 존재하는 것은 동치이며, $\sup_AX=(\sup_{A_i}X_i)$이다.

증명

우선 $\sup_{A_i} X_i$가 각각의 $i$에 대해 존재한다고 하자. 그럼 $(\sup_{A_i} X_i)_{i\in I}$가 $X$의 upper bound임은 자명하다. 만일 $(c_i)$가 $X$의 다른 upper bound였다면, 각각의 $c_i$는 $X_i$의 upper bound가 될 것이므로 $\sup_{A_i}X_i$의 최소성에 의해 $c_i\geq\sup X_i$이고, 따라서 $(c_i)\geq(\sup X_i)_{i\in I}$이다.

반대로 $\sup X=(a_i)$가 존재한다고 하자. 모든 $i$에 대해서, $a_i$는 $X_i$의 upper bound이다. 만일 $x_i\in X_i$라면, $i$번째 성분으로 $x_i$를 갖는 $x\in X$가 $x\leq (a_i)$이도록 하는 $x$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제 임의의 다른 upper bound $a_i’$에 대해, 새로운 원소 $(c_i)$를 $(a_i)$의 $i$번째 성분을 $a_i’$로 바꾸어 정의하면 $c\geq a$이므로 $a_i’\geq a_i$가 된다.

참고 Ordered set $A$와 $X’\subseteq X\subseteq A$에 대해서, $\sup_AX’$와 $\sup_XX’$ 중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고, 둘 다 존재하지만 값이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X’=\{x\in\mathbb{Q}\mid x < \sqrt{2}\}$를 각각의 집합들에서 비교해보자.

  1. $X_1=\mathbb{Q}$의 부분집합으로써, 이 집합의 supremum은 존재하지 않으나 $A=\mathbb{R}$에서는 존재한다. 즉 $\sup_AX’$가 존재하더라도 $\sup_{X_1}X’$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2. 한편 집합 $X_2=X’\cup \left\{2\right\}$를 생각하자. 그럼 $X’\subseteq X_2\subseteq X_1$이고 $\sup_{X_2}X’=2$이지만 $\sup_{X_1}A$는 존재하지 않는다.
  3. 마지막으로 $X’\subseteq X_2\subseteq A$에서, $\sup_{X_2}X’$와 $\sup_AX’$는 각각 존재하지만 두 값은 다르다.

그러나 여전히 다음을 증명할 수 있다.

명제 12 $A$가 ordered set이고, $X’\subseteq X\subseteq A$이라 하자. 만일 $\sup_AX’$와 $\sup_XX’$이 모두 존재한다면 $\sup_AX’\leq\sup_XX’$이다. 만일 $\sup_AX’$이 존재하고 $X$에 속한다면 $\sup_XX’$도 존재하고 이 값은 $\sup_AX’$와 같다.

증명

$X’$의 $X$에서의 upper bound들의 집합은 $A$에서의 upper bound들의 집합에 포함되고, 따라서 supremum은 더 크다. 만일 $\sup_AX’$가 존재하고 $X$에 속한다면, 이는 자명하게 $X$에서의 $X’$의 supremum이 된다.


참고문헌

[Bou] N. Bourbaki, Theory of Sets. Elements of mathematics. Springer Berlin-Heidelberg, 2013.


댓글남기기